+= 와 같은 대입 연산자 조합은 가변 데이터 타입을 다루는 경우 값을 메모리에서 직접 변경하지만,
불변 데이터 타입을 다루는 경우 신규 객체를 생성하여 좌측 피연산자 변수에 대입한다.(속도가 느려짐)
[신규 객체 생성]
- 대입연산자
[메모리 값 변경]
>>> str_list = []
>>> n = ord('a')
>>> for i in range(n, n+26) :
>>> str_list += chr(i)
>>> alpha_str = ''.join(str_list)
>>> print(alpha_str) # abcdefghijklmnopqrstuvwxyz 출력
'Python > 공통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- 루프와 else (0) | 2023.04.10 |
---|---|
Python - 열거형 값 활용 (0) | 2023.04.10 |
Python - 다중 리스트 (0) | 2023.04.07 |
Python - 리스트를 통한 인수전달 (0) | 2023.04.06 |
Python - 함축 (0) | 2023.04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