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옵션 민감도란?

 옵션의 민감도 지표는 옵션의 미래를 예측하는 지표로서, 시장상황의 변화에 따라(주가와 행사가격, 잔존가격, 변동성 및 이자율) 옵션 가격이 얼마나 민감하게 움직이는지 그 위험도를 수치로 나타낸 값입니다.

 대표적인 민감도 지표로는 델타, 감마, 세타, 베가, 로 가 있습니다.

 

2. 민감도 지표

2-1. 델타

[정의]

델타 = 옵션 가격의 변화 / 기초자산 가격의 변화

[의미]

수학적으로 옵션가격과 기초자산가격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의 기울기, 즉 1차 미분계수로 변화의 속도를 의미합니다.

델타는 해당 행사가격이 만기일에 행사될 확률을 의미하며, 콜옵션의 델타는 0~1, 풋옵션의 델타는 -1~0의 값을 가집니다.

 

2-2. 감마

[정의]

감마 = 델타의 변화 / 기초자산 가격의 변화

[의미]

수학적으로는 2차 미분계수로 기울기의 변화속도를 의미합니다.

감마는 옵션이 *매수포지션일 경우 (+)값을, **매도포지션일 경우 (-)값을 갖습니다.

해당 옵션의 감마에 거래계약 수를 합친 포지션 감마 값은 절대값이 클 경우 옵션가격의 급격한 변화(high risk, high return), 절대값이 작을 경우 옵션가격의 작은 변화(low risk, low return)를 의미합니다.

 

2-3. 세타

[정의]

세타 = 옵션 가격의 변화 / 잔존기간의 변화

[의미]

시간가치라고 불리우며 만기가 가까워짐에 따라 감소합니다. 

 

2-4. 베가

[정의]

베가 = 옵션 가격의 변화 / 기초자산 변동성의 변화

[의미]

변동성이 상승(하락)하면 그만큼 기초자산 가격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다는 것을 의미하며, 옵션의 가치 또한 상승(하락) 합니다. 

 

 

 

*매수포지션 : 기초자산이 오를 것 같다에 배팅

**매도포지션 : 기초자산이 내릴 것 같다에 배팅

'주식 > 파생상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옵션 - 역사적 변동성(Historiczl Volatility)  (0) 2023.02.07
옵션 - 변동성 개요  (0) 2023.02.07
옵션 - 용어정리  (0) 2023.02.07
선물  (0) 2023.02.07
옵션  (0) 2023.02.07

+ Recent posts